본문 바로가기

소소한정보

홈쇼핑 몰락 배경과 미래 전략 | 방송 쇼핑의 종말인가?

반응형

한때 TV를 켜기만 하면 나왔던 홈쇼핑 채널, 당신은 그 채널 번호조차 기억나시나요?

한동안 홈쇼핑 시장은 일정한 수익을 유지했지만, 모바일 쇼핑과 SNS 기반 라이브 커머스의 급부상에 따라 기존 홈쇼핑 산업은 큰 위기를 맞이하고 되었고 최근에는 넷플리스, 디즈니+ 등 OTT 역시 커머스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TV홈쇼핑의 미래는 정말 암울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돌파구가 있는지 최근의 경영 실적, 소비자 트렌드, 플랫폼 환경 변화 등을 통해 홈쇼핑의 몰락 배경과 미래 생존 전략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  차
1. 홈쇼핑, 수치로 보는 몰락의 시작
2.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 홈쇼핑을 멀어지게 하다
3. 홈쇼핑의 미래는 있는가?

 

📀 홈쇼핑, 수치로 보는 몰락의 시작

홈쇼핑 몰락

 

케이블 방송의 등장과 함께 1995년 8월 한국홈쇼핑(GS홈쇼핑)과 HSTV(CJ오쇼핑)이 시험방송을 송출하며 대한민국에 TV홈쇼핑이라는 새로운 산업이 시작되어 2000년 고성장을 지속하여 소비자들의 소비 방식 중에 주요 채널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최근 코로나 시기 OTT 등장으로 TV를 보는 소비자 층이 감소하게 되어 2020년 코로나 특수를 정점으로 국내 커머스 시장에서 홈쇼핑사들의 매출이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 TV홈쇼핑사 년도별 실적 추이

연도 총매출(조원) 영업이익률(%) 주요 특징
2000 1.2 8.5 홈쇼핑 본격화 시기
2005 2.9 9.1 디지털방송 기반 확대
2010 4.3 8.0 오픈마켓 경쟁 시작
2015 5.0 7.2 모바일 커머스 부상
2019 5.3 6.2 정체기
2020 5.7 7.0 코로나 특수
2021 5.4 5.5 모바일 쇼핑 대두
2022 5.1 3.8 시청률 하락 가속
2023 4.8 3.2 콘텐츠 투자 축소

📊 변화하는 소비자 트렌드, 홈쇼핑을 멀어지게 하다

홈쇼핑의 몰락은 하루아침에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방식과 기술 환경의 변화는 점진적이지만 확실하게 홈쇼핑 산업을 흔들어 왔습니다.

  1. 2000년대: 대형 TV와 케이블 채널의 확산
    • 이 시기 홈쇼핑은 황금기를 맞이합니다. TV 대형화와 다채널 서비스가 보편화되며, 쇼핑 전용 채널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습니다.
    • GS샵, CJ오쇼핑 등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고속 성장하며, 시청률과 매출 모두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2. 2010년대: 오픈마켓·소셜커머스의 등장
    • 인터넷 기반의 G마켓, 11번가, 쿠팡 등이 등장하며, 홈쇼핑의 독점적 지위에 금이 가기 시작합니다.
    • 소비자들은 더 다양한 가격 비교와 리뷰 확인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홈쇼핑의 '일방향 방송'은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3. 2010년대 중반: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모바일 커머스의 질주
    • 2006년 아이폰 3GS 출시를 필두로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모바일 쇼핑의 시대가 열립니다.
    • 앱 기반 쇼핑의 간편함은 홈쇼핑의 주문 방식보다 훨씬 빠르고 직관적이었습니다.
    •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모바일 라이브커머스'가 뜨면서, 홈쇼핑은 젊은 소비층에게서 멀어지게 됩니다.
  4. 2020년대: 코로나 팬데믹과 OTT 커머스 진출
    • COVID19 팬데믹은 OTT 사용률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고, 디즈니+, 넷플릭스, 유튜브 등 글로벌 OTT들은 이를 커머스와 접목하려는 시도를 강화했습니다.
    • 콘텐츠 안에서의 상품 연동, 실시간 쇼핑 기능은 기존 홈쇼핑의 틀을 완전히 무너뜨리는 혁신이 되고 있습니다.

📰 글로벌 OTT의 커머스 진출 사례

  • 넷플릭스: 인기 콘텐츠와 컬래버레이션한 굿즈 상품 판매 및 영상 중 등장 아이템을 클릭해 상품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 테스트 중

넥플릭스 방송 콘텐츠 굿즈 판매

 

 

  • 디즈니+: 캐릭터 상품 연동 페이지와 쇼핑몰 접속 기능 제공
    디즈니+ 쇼핑 가능한 광고 형식 및 서비스 도입

  • 유튜브 쇼핑: 유튜버가 소개하는 상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기능 정식 도입

유튜브 채널 내 쇼핑 서비스 연결
유튜브 방송 시청 중 쇼핑 상품 보기

 


이처럼 콘텐츠 소비와 쇼핑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홈쇼핑의 전통적인 포맷은 경쟁력을 잃고 있습니다.

🚫 홈쇼핑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 방송 편성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고정형 콘텐츠
  • 시청자와의 실시간 상호작용 부재
  • 모바일 UI/UX에 맞지 않는 조작 구조
  • 복잡한 주문 절차

또한, 홈쇼핑사는 케이블사에 막대한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어 영업이익에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OTT 기반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 구조적으로 불리한 요소입니다.

🌱 홈쇼핑의 미래는 있는가?

홈쇼핑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단순 방송 쇼핑이 아닌, 특정 타깃과 고품질 콘텐츠 중심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 시니어 타깃 맞춤형 방송: 설명 중심의 친절한 접근
  • 지역 중소기업 제품 중심 방송: 공익성 강조 및 차별화 콘텐츠로 신뢰 확보
  • AI 상품 추천 + 실시간 채팅형 방송 시스템 개발

💡 홈쇼핑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홈쇼핑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존 방식으로는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된 것입니다.

"홈쇼핑은 더 이상 채널이 아닌, 콘텐츠이자 서비스로 거듭나야 합니다."

이제는 변화보다 재창조의 시대입니다. 홈쇼핑이 디지털 커머스의 일부로 편입되기 위한 근본적 재설계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