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Quant)투자

퀀트 투자 전략에도 계절성이 있다! 타이밍이 수익률을 좌우한다

반응형

저번 시간에 퀀트 투자 리벨런싱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저번 글 : 퀀트 투자 리벨런싱, 왜 꼭 해야 할까? | 전략별 주기·방법 완벽 가이드 >

퀀트 투자는 숫자와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시스템 기반 투자 방식으로 전략이 잘 작동하는지 꾸준히 점검하고 조정하는 작업, 즉 미리 정한 날짜를 지정하여 전략 종목들의 비중을 다시 조정하여 불필요한 리스크를 줄이는게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벨런싱 날짜를 지정하는데 있어 석학들과 전세계 성공한 투자자들이 장기간의 투자결과의 벡테스트를 통해 특정 계절, 월에 투자시 다른 시점보다 좀 더 수익률이 좋아진다고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퀀트 투자 대가들이 분석한 계절성 분석 내용과 퀀터스(Quantus) 플랫폼을 이용하여 투자 전략의 리밸런싱 전략에 대해 월,분기,년,특정기간을 기준으로 수익률을 비교하여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퀀트 투자 계절성 분석

 

투자 대가들이 말하는 최적의 투자 시점

 

투자 업계의 전설적 인물들, 워런 버핏, 벤저민 그레이엄, 레이 달리오 등도 단순히 ‘좋은 종목’만을 고르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타이밍에 따라 시장에 대한 접근 전략을 달리 했습니다.

 

특히 퀀트 투자 전략을 활용하는 투자자들은 계절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한 ‘1월 효과(January Effect)’나 ‘할로윈 전략(Sell in May and go away)’은 수십 년간 통계적으로 입증된 계절성 투자 전략 중 일부입니다.

📊 최근 10년간 월별 평균 수익률 비교

S&P500 NASDAQ100 다우지수(DJIA)
1월 +0.94% +1.22% +0.72%
2월 +0.22% +0.68% +0.36%
3월 +1.01% +1.35% +0.91%
4월 +1.51% +2.04% +1.29%
5월 +0.42% +0.83% +0.58%
6월 +0.06% +0.41% +0.12%
7월 +2.17% +2.89% +1.87%
8월 -0.09% +0.12% -0.18%
9월 -0.79% -0.52% -0.88%
10월 +1.39% +1.71% +1.12%
11월 +1.52% +1.89% +1.42%
12월 +0.89% +1.23% +1.06%

 

위 표 데이터에서 보는거와 같이 4월, 7월, 10월, 11월이 평균적으로 강세월, 9월은 약세 월특정 시기에 따라 수익률이 변화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단순히 투자 감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 백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습니다. 퀀트 투자자들은 이 계절성을 활용해 시장 흐름의 리듬을 타는 전략을 구사하여 좀 더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왜 특정 기간에 투자를 해야 수익이 좋아지는가?

 

자, 그럼 본격적으로 "왜 계절성 전략이 유효한가?"를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수익률 계절성 분석

✔ 심리적 요인

많은 투자자들이 회계연도 마감, 세금 이슈, 연말 보너스 수령 후 투자, 새해 포트폴리오 리셋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연중 특정 시점에 투자에 나섭니다. 이로 인해 특정 기간에는 매수세가 몰리며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정 기간의 수익률 차이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이야기로는 "1월에는 새로운 투자금이 유입되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반면 5월 이후에는 휴가철과 여름 비수기로 인해 거래량이 줄고 주가가 약세를 보인다"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 제도적 요인

펀드매니저나 기관투자자들은 분기 또는 연말에 실적을 맞추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조정합니다. 이로 인해 일정 시점에 주식 매수·매도가 집중되며 시장 전체에 영향을 주는 흐름이 발생합니다.

✔ 통계적 결과

다양한 퀀트 전략들이 리벨런싱 시점을 언제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상당히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전략을 3월에 리벨런싱할 때와 6월에 할 때의 수익률이 10% 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실제로 존재합니다.

 

이처럼 **계절성은 단순히 운이 아니라,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 패턴이 만들어낸 '데이터 기반의 규칙'**입니다.


 

전략 리벨런싱 분석 결과 (feat. 퀀터스)

 

투자 대가들이 언급한 대표적인 계절성 전략에는 **‘1월 효과(January Effect)’**와 **‘할로윈 전략(Sell in May and go away)’**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전략이 한국 시장, 특히 소형주 퀀트 투자 전략에도 통할 수 있을까요?
"같은 전략인데 시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퀀트 투자 플랫폼인 **‘퀀터스(Quantus)’**를 활용하여 실제 한국 소형주를 기반으로 다양한 리벨런싱 주기별 수익률을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 기간별 투자 리벨런싱 분석 비교

  • 유니버스 : 한국 소형주 하위 20%, 금융주/지주사/관리종목/적자기업 제외, 부채비율 150% 이하, PER 8 이하
  • 팩터 : PER, PSR, PFCR, EV/EBIT, GP/A, 매출,영업이익증가율 상위
  • 트레이딩 : 20개 종목, 슬리피지 0.5%, 기간 : 2003.01 ~ 2025.06
구분 월별 분기별 반기별 년별 할로윈
(11~4월)
리버스할로윈
(5~10월)
누적 수익률(%) 242,003.67% 61,036.44% 57,698.75% 18,295.44% 31,361.92% 442.96%
연평균성장율(CAGR) 44.21% 35.26% 34.97% 27.82% 31.02% 8.31%
최대낙폭률(MDD) 56.99% 55.50% 47.44% 58.20% 41.55% 56.99%
샤프지수 1.86 1.49 1.48 1.19 2.00 0.59
소르티노지수 2.64 2.11 2.15 1.69 3.08 0.80
변동성율(%) 21.38% 22.48% 22.47% 23.42% 14.29% 15.89%

 

분석 결과, 같은 퀀트 전략이라도 리벨런싱 시점에 따라 성과 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월별 리벨런싱 전략은 누적 수익률과 CAGR 모두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최대 낙폭(MDD)**이 56.99%에 달해 고통 구간을 버티기 쉽지 않은 전략입니다.
  • 반면, **할로윈 전략(11월 매수, 4월 매도)**은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과 높은 샤프지수(2.00), **소르티노지수(3.08)**를 기록해 위험 대비 수익 효율이 매우 뛰어난 전략으로 나타났습니다.
  • **리버스할로윈 전략(5~10월 투자)**은 수익률도 낮고, 낙폭은 그대로 유지되는 결과로 계절성 투자 전략의 타당성을 데이터로 증명했습니다.

이처럼, 동일한 전략이라도 리벨런싱 타이밍이 수익률과 위험관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투자 성과는 단지 ‘좋은 전략’을 쓰느냐가 아니라, ‘언제 실행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마무리 : 투자 최고의 타이밍을 잡아라 !

 

지금까지 퀀트 투자 전략에서 계절성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종목을 고르는 것보다 언제 투자할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의 세계에서는 작은 차이가 장기적으로는 큰 수익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전략 리벨런싱 시점을 한 달만 잘 조정해도 연간 수익률이 몇 퍼센트씩 차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퀀트 전략에도 '시점 전략', 즉 계절성을 반드시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의 최적 타이밍을 잡는 것이 진정한 수익률을 만들어내는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