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Quant)투자

팩터 투자의 진화, 4가지 요소를 혼합하면 리스크 관리가 쉬워집니다

반응형
목   차
1. 퀀트 투자의 핵심, 팩터 전략 다시 보기
2. 단일 팩터 전략의 한계와 위험 요소
3. 4가지 팩터 조합이 만들어내는 시너지
4. 백테스트 결과로 증명된 혼합 전략의 효과
5. 당신도 시작할 수 있는 팩터 혼합 전략 설계법

 

지금까지 가치, 퀄리티, 성장성 및 모멘텀 팩터를 활용한 퀀트 투자 전략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각 팩터는 고유의 장점이 있지만 단독으로 활용할 경우 한계와 단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이제는 단일 팩터 전략을 넘어 여러 팩터를 조합하여 서로의 약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리스크는 줄이고, 수익률은 더 높일 수 있는 팩터 혼합 전략! 여러분도 지금부터 충분히 따라 하실 수 있습니다.

 

[광고] 퀀트 투자 입문자를 위한 강의 추천


1. 퀀트 투자의 핵심, 팩터 전략 다시 보기

퀀트 투자의 기본은 특정 팩터(Factor)를 기반으로 종목을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팩터란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수치형 기준'으로, 대표적으로 아래 4가지가 있습니다:

  • 가치(Value): 저평가 종목을 찾는 전략 (예: PER, PBR, PSR, NCAV)
  • 퀄리티(Quality):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이 우수한 종목 (예: ROE, ROIC, F-score)
  • 성장성(Growth): 매출, 자산, 현금흐름 등이 꾸준히 증가 중인 기업
  • 모멘텀(Momentum): 최근 주가 흐름이 상승세인 종목을 추종하는 전략

각 팩터는 시장 상황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독 전략은 시기에 따라 편차가 클 수 있습니다.

퀀트 투자 4개 팩터 활용


2. 단일 팩터 전략의 한계와 위험 요소

많은 투자자들이 처음에는 PER, PBR 같은 가치 지표만 보고 투자합니다. 하지만 단일 팩터 전략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집니다:

  • 시장 환경 변화에 취약: 예를 들어 가치 팩터는 하락장에서는 오히려 성과가 저조해질 수 있습니다.
  • 리스크 분산 부족: 하나의 기준으로만 종목을 선정하면 특정 업종이나 유형의 종목으로 쏠릴 수 있습니다.
  • 수익률 편차가 큼: 단기간에 성과가 좋았다가 갑자기 수익률이 크게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 팩터보다는 여러 팩터를 혼합하여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분산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광고] 백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무료 체험하기


3. 4가지 팩터 조합이 만들어내는 시너지

팩터들을 조합할 경우 각 요소의 약점을 보완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다양한 시장 상황에서도 꾸준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 침체 시기에는 가치·퀄리티 팩터가 강세를 보이고, 상승장에서는 성장성·모멘텀 팩터가 성과를 주도합니다. 이처럼 팩터 간 상호보완적 특성을 활용하면 시장 전환기에 포트폴리오가 급격히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조합 전략의 대표 예시

  • 가치 + 퀄리티
    • 저평가되어 있으면서도 재무 건전성이 높은 종목을 선별
    • 예: PER 하위 30% + ROE 상위 20%
  • 퀄리티 + 성장성
    • 이익도 꾸준하고 매출 및 자산이 함께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
    • 예: ROE 상위 + 매출 성장률 상위 + 영업현금흐름 증가
  • 성장성 + 모멘텀
    • 외형적으로 성장하며 동시에 주가 추세가 강한 기업을 선정
    • 예: 매출 증가율 상위 + 12개월 모멘텀 상위
  • 모멘텀 + 가치
    • 단기적으로 오르고 있지만 여전히 저평가된 종목을 선별
    • 예: 3개월 수익률 상위 + PBR 하위 30%

이러한 혼합 전략은 단일 팩터에 의존할 때보다 수익률은 높이고 리스크는 낮추는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팩터 혼합 방식


4. 백테스트 결과로 증명된 혼합 전략의 효과

백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 단일 가치 팩터 전략(PER 기준)보다 PER + PEG 전략의 수익률이 연 1.7% 더 높았습니다.
  • 퀄리티(F-score 7점 이상) + PBR 하위 30% 전략은 변동성이 낮고 꾸준한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 성장성(매출 증가율 상위) + 영업현금흐름 + ROE 조합은 고성장주 선별에 효과적이었습니다.
  • 모멘텀 전략은 단독으로도 강력했지만 Sortino비율 + RSI 같이 변동성 보정 전략과 혼합하면 리스크도 낮아졌습니다.

[비교표] 단일 팩터 vs 혼합 팩터 전략 성과 예시 (20년 기준)

전략 유형 연평균 수익률(CAGR) 최대 낙폭(MDD) 최종 수익 (1천만 투자 기준)
단일 가치 (PER) 14.1% -37% 약 5.1억 원
가치 + 성장 (PER + PEG) 15.8% -32% 약 6.6억 원
퀄리티 + 가치 16.2% -30% 약 6.9억 원
성장 + 퀄리티 17.5% -28% 약 8.1억 원
모멘텀 + 가치 16.8% -31% 약 7.4억 원

이처럼 단일 전략 대비 혼합 전략은 성과도 우수하고 MDD도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단 1~2% 차이가 수천만 원 이상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광고] 백테스트 기반 전략 자동 추천 서비스 체험하기


5. 당신도 시작할 수 있는 팩터 혼합 전략 설계법

처음부터 복잡하게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와 같은 간단한 3단계로 시작해보세요:

 

1단계: 주력 팩터 정하기
가치, 퀄리티, 성장성, 모멘텀 중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을 중심으로 시작하세요.

 

2단계: 보완 팩터 추가하기
예를 들어 가치 중심 전략이면 퀄리티 팩터를 보완으로 추가해 보세요.

 

3단계: 퀀트 플랫폼에서 시뮬레이션
무료 퀀트 플랫폼(예: 퀀터스)을 활용하여 조건을 설정하고 백테스트를 실행해보세요.

혼합 전략을 통해 수익률은 올리고, MDD는 줄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단일 기준에서 벗어나 다층적인 전략 설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퀀터스 팩터 전략 설계 화면
퀀터스 팩터 전략 설계

 

이제 여러분도 팩터 혼합 전략을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이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꾸준히 반복하고 테스트하다 보면 나만의 퀀트 전략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퀀트 플랫폼에 접속해서 첫 전략을 설계해보세요!

 

다음 시간부터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퀀터스 플랫폼을 활용해 여러 팩터를 사용한 백테스트와 실제 결과물들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