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베스팅닷컴

(3)
파이썬을 활용한 코스피·코스닥 전 종목 10년 종가 데이터 가져오기 퀀트 전략을 검증하려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바로 종목별 장기 시세 데이터, 특히 **일별 종가(Historical Closing Price)**입니다.많은 퀀트 초보자들이 전략은 짜지만,막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멈추곤 합니다.특히 코스피·코스닥 전 종목의 10년 데이터를 직접 모으려면하루 이틀로는 끝나지 않는 작업입니다.하지만 파이썬(Python)을 활용하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한 번만 셋업하면 언제든 최신 데이터도 쉽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Investing.com(인베스팅닷컴)**에서코스피, 코스닥 전 종목의 10년 일별 종가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수집하는 방법을단계별로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1. 수집 전략 개요 – 왜 Investing.com인가?Inv..
엑셀로 백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정리 방법 – 초보자용 퀀트 전략 준비 가이드 퀀트 투자는 감정을 배제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수치 기반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과거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 없이 전략을 세우는 것은, 지도 없이 여행을 떠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백테스트를 시작하려고 할 때, "어디서 데이터를 구하고, 어떻게 정리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을 가장 많이 합니다. 실제로 퀀트 전략을 테스트할 수 있는 데이터는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 있고, 엑셀만 있어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네이버 금융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을 활용해 과거 주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엑셀에서 정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하겠습니다. 코딩이나 API가 없어도 누구나 따라할..
재무제표 데이터를 활용법 - 퀀트 투자 기초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 대부분은 차트를 보거나, 뉴스에서 언급되는 테마 종목에 관심을 갖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기준 없는 투자’가 반복되면 손실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때 눈을 돌리게 되는 것이 바로 재무제표 기반의 정량적 투자, 즉 퀀트 전략입니다. 퀀트 투자는 감정이 아닌 숫자에 의존해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고, 객관적인 기준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접근 방식입니다.특히 재무제표 데이터를 활용한 퀀트 투자는 ‘누구나 볼 수 있는 공시자료’에서 출발하지만, 이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퀀트 투자에 활용되는 재무제표 항목들, 그 의미와 해석법, 그리고 실제 투자 전략에 적용하는 기본 구조까지, 실전에 바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