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Quant)투자

2025 기준 커버드콜 ETF 총정리 및 백테스트 성과 공개

반응형

커버드콜(covered call) ETF는 안정적인 배당과 프리미엄 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종류가 다양하고 각 ETF마다 성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주요 해외 및 국내 커버드콜 ETF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백테스트 성과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커버드콜 ETF 투자 전략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 글에서 다룰 내용

  1. 커버드콜 ETF 개념과 기본 전략
  2. 해외 및 국내 주요 커버드콜 ETF 종류 정리
  3. 백테스트 성과 분석 및 시사점
  4. 투자 시 주의사항 및 리스크 관리
  5. 요약 정리 및 투자 활용 팁

2025 기준 커버드콜 ETF 총정리 및 백테스트 성과 공개

 

커버드콜 ETF 개념과 기본 전략

 

커버드콜 전략은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call option)을 매도해 프리미엄을 확보하는 구조입니다. 즉, 배당 + 옵션 프리미엄 =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죠.

  • 장점: 변동성 시장에서 안정적인 현금흐름 확보 가능
  • 단점: 주가 상승 시 수익 상한(cap) 존재 → 초과 상승분 놓칠 수 있음
  • 적합 투자자: 고배당 선호형, 안정적 현금흐름 추구형

즉, 공격적 성장주 투자자보다 인컴형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그렇다면 실제로 어떤 커버드콜 ETF들이 운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성과는 어떨까요?


 

해외 및 국내 주요 커버드콜 ETF 종류 정리

 

2025년 현재 미국 시장과 한국 시장 모두 다양한 커버드콜 ETF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품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해외 상장 커버드콜 ETF

ETF 티커 운영사 기초자산 분배금 수익률
(2025년 초 기준)
특징
JEPI JP모건 S&P500 종목 약 7~9% 가장 대중적인 커버드콜 ETF, 안정성 우수
XYLD Global X S&P500 인덱스 약 9~11% 단순 구조, 안정적 분배금 지급
QYLD Global X 나스닥100 약 11~12% 고배당, 하지만 장기 성과는 낮음
RYLD Global X 러셀2000 약 10~12% 중소형주 기반, 변동성 크고 리스크 큼
HSPX Horizons S&P500 약 7% 옵션 매도 비중 낮음, 상승 여력 보존

📌 국내 상장 커버드콜 ETF

ETF 티커 운용사 기초자산 분배금 수익률(2025년 초 기준) 특징
KODEX 미국 S&P500 커버드콜(합성 H) 삼성자산운용 S&P500 약 6~7% 국내 투자자가 쉽게 접근 가능한 해외지수 기반 상품
TIGER 미국 S&P500 커버드콜(합성 H) 미래에셋자산운용 S&P500 약 6~7% 삼성운용과 유사한 구조, 원화 환헤지 제공
HANARO 글로벌 리츠 커버드콜 NH투자운용 글로벌 리츠(REITs) 약 7% 리츠 기반 안정적 분배금, 부동산 자산 노출
KBSTAR 200 커버드콜 KB자산운용 KOSPI200 약 5% 국내 지수 기반, 원화 배당 선호 투자자에게 적합

 

👉 해외에 직접 투자하기 부담스러운 투자자라면, 국내 상장 커버드콜 ETF를 활용해 간접적으로 안정적 인컴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백테스트 성과 분석 및 시사점

 

국내 ETF가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아 백테스트가 어려워 미국 ETF에 한하여 실제 커버드콜 ETF들의 최근 10년(2015.09~2025.08) 성과를 백테스트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백테스트 성과 요약 (2015.09~2025.08 기준)

나스닥100 ETF (QQQ vs QYLD[커브드콜]) 10년 실적 비교

  QQQ QYLD
CAGR 18.9% -2.7%
MDD 35.6% 40.9%

 

 

S&P500 ETF (SPY vs XYLD[커브드콜]) 10년 실적 비교

  SPY XYLD
CAGR 12.9% -0.6%
MDD -34.1% -34.7%

 

👉 결론:

  • QQQ, SPY 같은 단순 인덱스 ETF가 장기적으로는 높은 CAGR을 기록
  • QYLD, XYLD는 높은 분배금에도 불구하고 장기 총수익률이 낮고, MDD도 깊음

즉, 커버드콜 ETF는 시장 상승기보다 횡보/하락장에서 상대적 강점을 발휘하며, 분배금을 통한 인컴 수익 확보가 핵심입니다.


 

투자 시 주의사항 및 리스크 관리

커버드콜 ETF는 안정적 현금흐름을 주지만 무조건 안전한 상품은 아닙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가 상승 제한: 급등장에서 초과 수익 기회 상실
  • ⚠️ 장기 총수익률 저하: 성장주 지수(QYLD)일수록 차이 심함
  • ⚠️ 세금 문제: 한국 투자자의 경우 해외 배당소득세 + 금융소득종합과세 고려 필요
  • ⚠️ 환율 리스크: 달러 자산이므로 환율 변동성에 노출됨

👉 따라서 전체 자산의 일부 비중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요약 정리 및 투자 활용 팁

✅ 오늘의 핵심 요약

  • 커버드콜 ETF는 배당+옵션 프리미엄으로 안정적 인컴 창출
  • 대표 해외 ETF: JEPI, XYLD, QYLD, RYLD, HSPX
  • 대표 국내 ETF: KODEX S&P500 커버드콜, TIGER S&P500 커버드콜, HANARO 글로벌 리츠 커버드콜, KBSTAR 200 커버드콜
  • 백테스트 결과, 상승장에서는 부진 / 횡보·하락장에서는 상대적 강세
  • 투자 시 환율·세금·총수익률 저하 리스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

💡 활용 팁

  • 장기 성장주 투자 포트폴리오와 병행 → 안정적 현금흐름 보강
  • 인컴형 자산 선호 투자자에게 적합
  • 시장 사이클(횡보/하락기)에서 방어 전략으로 활용

이제 여러분도 커버드콜 ETF의 해외/국내 종류와 백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수익보다는, 본인의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꾸준히 공부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접근한다면 안정적인 인컴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