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시장에서 ‘모멘텀’은 가장 널리 알려진 팩터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단순 모멘텀 전략을 쓰다 손실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리 안토나치(Gary Antonacci) 가 개발한 것이 듀얼모멘텀 전략입니다.
듀얼모멘텀은 단순히 오르는 자산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 모멘텀(Relative Momentum) 과 절대 모멘텀(Absolute Momentum) 을 함께 적용하여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장기 성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입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미국·한국 ETF를 활용한 실제 적용법까지 배워가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에서 다룰 내용
- 듀얼모멘텀 전략의 기본 개념과 창시자 안토나치 소개
- 미국 ETF를 활용한 듀얼모멘텀 투자 전략
- 한국 ETF를 활용한 듀얼모멘텀 투자 전략
- 백테스트 결과와 실전 적용 시 주의사항
- 핵심 요약 및 투자 팁
듀얼모멘텀 전략의 기본 개념과 창시자 안토나치 소개
듀얼모멘텀 전략은 미국 투자 전문가 게리 안토나치(Gary Antonacci) 가 2013년에 발표한 『Dual Momentum Investing』이라는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안토나치는 하버드 MBA 출신으로 40년 이상의 투자 경력을 보유한 자산관리 전문가입니다.
그는 과거 주식시장에서 단순 모멘텀 전략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상대 모멘텀’과 ‘절대 모멘텀’을 결합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상대 모멘텀은 여러 자산군 중 더 강한 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이며, 절대 모멘텀은 투자 대상이 무위험 자산(예: 현금, 단기채)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때만 투자하는 원칙입니다.
이 두 가지를 합치면 상승장에서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하락장에서는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 개념을 이해하면 자산배분의 강력한 무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미국 ETF를 활용한 듀얼모멘텀 투자 전략
미국 시장에서는 ETF가 다양하게 상장되어 있어 듀얼모멘텀 전략을 적용하기에 매우 유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S&P500 지수 ETF(SPY) 와 미국 국채 ETF(IEF, TLT) 를 조합하는 방법입니다.
상대 모멘텀 기준으로는 미국 주식 vs 글로벌 주식(EFA) 를 비교하여 더 강한 자산에 투자합니다. 만약 미국 주식이 글로벌 주식보다 강하면 SPY에 투자하고, 반대라면 EFA에 투자합니다.
하지만 절대 모멘텀 필터를 적용했을 때 해당 자산이 무위험 수익률(예: 미국 국채 단기물 SHY)보다 낮으면 안전자산인 국채 ETF로 전환합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면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폭락장에서 큰 손실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백테스트 자료를 확인해보시면 놀라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산군 | 대표 ETF | 전략 내 역할 |
미국 주식 | SPY (S&P500) | 상대 모멘텀 비교 자산 |
글로벌 주식 | EFA (MSCI EAFE) | 상대 모멘텀 비교 자산 |
미국 국채 | TLT, IEF | 절대 모멘텀 시 방어 자산 |
한국 ETF를 활용한 듀얼모멘텀 투자 전략
한국 시장에서도 ETF가 꾸준히 성장하면서 듀얼모멘텀 전략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KODEX 200 (국내 대형주) 와 KODEX 선진국 MSCI World (글로벌 주식) 를 상대 모멘텀 비교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국내 주식이 더 강하면 KODEX 200에 투자하고, 글로벌 주식이 강하면 MSCI World ETF에 투자합니다.
절대 모멘텀 기준으로는 KODEX 단기채권 ETF 를 안전자산으로 설정합니다.
실제 국내 백테스트 연구에 따르면 단순 코스피 지수 추종보다 변동성은 줄고, 장기 누적 수익률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여러분도 국내 증권 계좌를 통해 쉽게 실행할 수 있으니 지금부터 관심을 가져보세요.
자산군 | 대표 ETF | 전략 내 역할 |
한국 주식 | KODEX 200 | 상대 모멘텀 비교 자산 |
글로벌 주식 | KODEX MSCI World | 상대 모멘텀 비교 자산 |
안전자산 | KODEX 단기채권 | 절대 모멘텀 시 방어 자산 |
백테스트 결과와 실전 적용 시 주의 사항
미국 시장에서 안토나치가 제시한 듀얼모멘텀 전략은 지난 40년간 연평균 15% 내외의 수익률과 낮은 최대 낙폭(약 -20%)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단순 주식 투자자의 최대 낙폭은 -50% 이상이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도 2000년대 이후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서 듀얼모멘텀 전략은 장기적으로 코스피 대비 높은 샤프지수(위험 대비 수익률)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모든 전략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듀얼모멘텀 전략 역시 횡보장(박스권 장세) 에서는 잦은 매매와 수수료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기별 혹은 월별 리밸런싱 주기를 정하고, 백테스트 자료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최적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좋은 전략이라는 이유로 무작정 따라하기보다는 본인 성향에 맞게 조정해보세요.
핵심 요약 및 투자 팁
이제 듀얼모멘텀 전략의 핵심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핵심 요약
- 듀얼모멘텀은 상대 모멘텀 + 절대 모멘텀 을 결합한 전략
- 미국 ETF: SPY, EFA, TLT를 활용해 글로벌 분산 투자
- 한국 ETF: KODEX 200, MSCI World, 단기채권 ETF로 응용 가능
-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과 낮은 낙폭을 보여줌
- 단, 횡보장에서는 매매 빈도가 증가하므로 리밸런싱 기준 설정 필요
💡 실전 팁
- 분기마다 리밸런싱해 거래 비용 최소화하기
- 미국·한국 시장 ETF를 함께 활용해 글로벌 자산배분 시도하기
- 백테스트 데이터를 반드시 검토하고 실전 투자에 적용하기
이제 여러분도 단순 주식 투자에서 벗어나, 안토나치가 제시한 듀얼모멘텀 전략 으로 한 단계 진화된 자산배분 투자에 도전해 보세요.
꾸준히 실행하면 변동성을 낮추면서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퀀트(Quant)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퀀트 투자 전략 TOP 3 | 계절성 데이터로 본 수익률 비교 (4) | 2025.08.09 |
---|---|
특정월 주식 하락, 인버스 ETF로 대비 가능할까? | 10년 월별 수익률 데이터로 확인 (2) | 2025.08.05 |
CPI·금리 발표가 ETF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QQQ·TLT·GLD·SHY 계절성의 비밀 (3) | 2025.08.03 |
ETF 계절성 10년치 수익률 데이터 공개 | QQQ·TLT·GLD·SHY의 월별 흐름 완벽 비교 (1) | 2025.08.02 |
미국 S&P500과 한국 코스피, 언제 투자해야 좋을까? | 월별 수익률 계절성 비교 (0) | 2025.07.31 |
미국 배당주와 한국 배당주, 누가 더 강했나? 장기 수익률 실전비교 (1) | 2025.07.27 |
소형주가 대형주를 이긴 이유? 퀀트 전략 수익률 비교분석 (1) | 2025.07.26 |
조엘 그린블라트 마법공식 완전 해부 | 퀀트 백테스트로 본 수익률 분석 (0)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