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투자자는 감정이 아닌, 시스템으로 움직인다.”
📈 미국의 전설적인 트레이더 **마크 미너비니(Mark Minervini)**는 그의 베스트셀러 *‘Stock Market Wizard’*를 통해 **SEPA 전략(Trend Template + Entry Rule + Risk Management)**을 소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이런 전략이 미국 시장에서만 통하는 것인지, 혹은 한국 시장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한지 궁금하셨던 분들도 많을 텐데요.
✅ 이 글에서는 SEPA 전략의 핵심 룰을 간단히 정리하고, 퀀트 방식으로 한국 주식 시장에 백테스트한 결과를 공개합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투자 전략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에서 다룰 내용
SEPA 전략 핵심 요약
**SEPA(Stock Evaluation Performance Analysis)**는 마크 미너비니가 개발한 성장주 중심의 추세추종 전략입니다.
구성 요소 | 정의 | 상세 내용 |
Trend Template | 상승 추세에 있는 종목만 필터링 | 일반적으로 50일,150일, 200일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및 현재 주가가 이들 평균선보다 위에 있으며 52주 신고가 근처에 위치 |
Entry Rule | 저항 돌파 시점의 매수 조건 | 일정 기간 횡보 또는 눌림 이후 거래량 동반한 강한 돌파 신호 대표적 설명 : Cup with Handle |
Risk Management | 손절라인, 분할매수, 리스크 비중 조절 등 | 손절선 설정, 2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떨어질 경우 50% 비중 손절 전체 포트폴리오 -7% 이탈 시 손절 |
💡 핵심 포인트는 단기 모멘텀보다 중기 추세 형성 여부에 집중하며, 52주 신고가 돌파 + 거래량 증가 + EPS 증가율 등의 조건이 조합된다는 것입니다.
SEPA 전략 퀀트 백테스트 팩터 정리 (feat. 퀀터스)
파이썬 코딩 없이도 퀀트 플랫폼을 활용하면 SEPA 전략을 쉽게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가 현재 사용 중인 퀀터스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팩터 조합으로 SEPA 전략을 구현했습니다.
구성 요소 | 퀀터스 플랫폼 팩터 리스트 |
성장주 | 매출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상위, EPS, ROE 상위 종목 |
Trend Template | 3/12개월 모맨텀 상위 종목, 상대강도지수 하위(과 매수/도 방지) |
Entry Rule | 변동성(52주, 60일) 하위 종목 |
Risk Management | 20일 이평선 돌파시 매수, 탈락시 매도 |
매매 방식은 월 1회 리밸런싱, 종목 수는 10개로 제한하여 실전 투자에서도 적용 가능한 구성을 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한국 시장 백테스트 결과
백테스트 기간 20년을 설정하여 한국시장에도 SEPA 전략이 통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SEPA 전략 백테스트 결과
위에 SEPA전략의 20년간의 백테스트 결과를 보면 KOSPI200 지수대비 약 8배의 누적 성과를 달성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또한, MDD 역시 KOSPI200 대비 훨씬 낮은 것으로 나오는데요. 이는 Risk Management 관리를 통해 손실 기준을 설정하여 기계적인 투자를 통한 효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을 10분위로 나누어 볼 때 한국시장은 어떤 종목 그룹군들이 더 효과가 있었는지 보겠습니다.
구분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6분위 | 7분위 | 8분위 | 9분위 | 10분위 |
Cumulative Return (%) |
460.92 | 93.55 | 88.8 | 16.41 | 10.75 | 5.76 | -32.16 | -39.25 | -77.76 | -68.61 |
CAGR (%) | 9.5 | 3.54 | 3.4 | 0.8 | 0.54 | 0.3 | -2.02 | -2.59 | -7.6 | -5.91 |
Max Drawdown (%) |
-61.47 | -63.34 | -63.3 | -63.52 | -65.52 | -66.44 | -68.48 | -73.36 | -87.79 | -84.38 |
Sharpe | 0.57 | 0.28 | 0.27 | 0.14 | 0.13 | 0.12 | 0.01 | -0.02 | -0.26 | -0.15 |
Sortino | 0.74 | 0.37 | 0.36 | 0.18 | 0.17 | 0.15 | 0.01 | -0.02 | -0.33 | -0.19 |
💡1분위 시가총액 하위 10% → 10분위 시가총액 상위 10%
시가총액 기준으로 볼 때 한국시장은 시가총액 하위 60% 까지 SEPA 전략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럼 이 기준을 추가하여 백테스트 결과를 보면 어떻게 나오는지 다시 한번 보시겠습니다.
📈 시가총액 하위 60% 대상 SEPA 전략 백테스트 결과
시가총액 하위 60% 대상 SEPA 전략을 백테스트를 해본 결과 기존 전체 종목 대상보다 약 17배가 더 높은 누적 수익을 기록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 듯 종목 대상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동일한 전략의 수익율은 천차만별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퀀트 투자자가 되시고자 하시는 여러분들은 항상 유념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실전 투자 시 주의 사항
SEPA 전략을 퀀터스로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현실적 조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팩터 조합의 세밀한 튜닝 필요
- 단순히 상위 30%로 자르기보다는, 팩터 간 조합 시 상충 요소 제거
- 예: 매출 증가율 상위 + 변동성 하위 등 이중 조건 활용
2) 과최적화(Overfitting) 경계
- 백테스트 결과에만 의존한 전략은 실전에선 통하지 않을 수 있음
- 검증되지 않은 기준의 과도한 조건은 피해야 함
3) 유동성 필터 필수
- 거래대금, 시가총액 조건이 없으면 소형주 위주의 비현실적 결과 발생
- 실제 체결 가능한 수준의 조건 설정 필요
4) 리밸런싱 주기와 매매 비용 고려
- 퀀터스에서는 월간 리밸런싱이 성과와 안정성 면에서 가장 우수
요약 및 마무리 팁
✅ 핵심 요약 정리
- SEPA 전략, 퀀트 플랫폼으로도 정량 구현 가능
- 성장성 + 추세 + 유동성 + 리스크 관리 팩터 조합이 핵심
- 퀀터스 백테스트 결과, KOSPI200 지수 대비 8배 초과 성과, 시가총액 하위 60% 대상으로 132배 초과 성과 가능
- 실전 적용 시 과최적화와 분산 부족에 주의 필요
마크 미너비니의 전략은 단순한 트레이딩 기법이 아닌, 시스템화된 사고와 철저한 검증을 바탕으로 한 투자 철학입니다. 파이썬 코딩이 어렵더라도, 퀀트 플랫폼을 활용하면 누구나 SEPA 전략을 실전 투자에 활용 가능합니다.
📌 오늘 소개한 전략을 바탕으로, 퀀터스 내에서 다양한 팩터 조합을 실험해보세요.
여러 번의 테스트와 소규모 실전 적용을 거쳐야, 진짜 내 전략이 완성됩니다.
꾸준함과 분석이 수익률을 만든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퀀트(Quant)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 버핏 가치투자 | 퀀트 백테스트로 검증해봤습니다. (0) | 2025.07.19 |
---|---|
윌리엄 오닐 CANSLIM 투자법 | 퀀트 백테스트 뽀개기 (1) | 2025.07.17 |
소형주 퀀트 투자의 모든 것 | 장점·성과·적용법까지 완벽 정리 (2) | 2025.07.14 |
부자들은 왜 자산배분에 집중할까? | 수익률·리스크 균형 잡는 핵심 전략 (0) | 2025.07.11 |
퀀트 투자 전략에도 계절성이 있다! 타이밍이 수익률을 좌우한다 (1) | 2025.07.10 |
퀀트 투자 리벨런싱, 왜 꼭 해야 할까? | 전략별 주기·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7.09 |
퀀트 전략 종목 수가 수익률을 좌우한다? 퀀트 전략에서 10~20개 선정이 중요한 이유 (2) | 2025.07.08 |
퀀트 투자로 위험은 낮추고 수익은 높이는 자산배분 전략 가이드 (0) | 2025.07.07 |